https://cocoapods.org/
가장 큰 형님같은 존재의 Cocoapods 입니다.
2011년도. 거의 10년 전부터 사용된 패키지 관리자입니다.
Ruby 로 작성된 Gem으로 Ruby의 rbenv와 닮은 구석이 참 많습니다.
(rbenv를 활용해보신 분이라면 가장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는 패키지 관리자입니다.)
Cocoa 프레임워크와 관련성 있는거 아니야 ! 라고 저도 조금 의심이 들었었지만,
전혀 관련은 없답니다 🙄
설치하기
1. Cocoapods을 Local 환경에 설치.
$ sudo gem install cocoapods
💫2인 이상의 프로젝트에서는 Cocoapods 버전을 통일하기 위해 Ruby Gem들의 버전을 맞춰주는 rbenv 사용을 추천합니다.
2. project에 Cocoapods 사용환경 구축.

- 저는 Cocoapods 설치를 위해 GetReadyWithMe 라는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었어요.

- 터미널에서 GetReadyWithMe project 경로로 들어가 pod init 을 실행시킵니다.

- pod init 을 실행시키면 project 파일 내에 Podfile 이 생성됩니다. 💫
- 이걸로 Cocoapods 의 설치는 끝입니다. 참 쉽쥬 ~ ?
3. 사용하고자 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설치하기


- 새로 추가된 podfile 을 열어주세요.
- 이곳이 바로 pod 들을 관리할 곳입니다.
- project 내의 module 별로 pod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해요 !
- # Pods for GetReadyWithMe 의 아랫줄에 설치하고자 하는 Pod 들을 추가해주세요.
- 추가 command 들은 각 pod들의 깃헙 리포지토리에 적혀져있답니다.
- 저는 Alamofire를 추가해볼게요 !
- Pod 이 추가되었다면 podfile 을 저장해주세요. cmd + s

- pod init 때와 똑같이 터미널에서 프로젝트 경로에 들어가 pod install 을 실행해줍니다.

- pod install 을 실행한 뒤 경로에 들어가면 .xcworkspace 가 생성되고 Pods 폴더가 추가되었어요.
- ❗️이때부터 project를 관리하고 코드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꼭 ! 흰색의 xcworkspace에서 수정하셔야해요❗️
- .xcworkspace?
- xcodeproj 와 함께 필요한 모듈, 라이브러리들이 함께 모인 파일들의 디렉토리.
- ❗️이때부터 project를 관리하고 코드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꼭 ! 흰색의 xcworkspace에서 수정하셔야해요❗️

- 흰색의 .xcworkspace 파일을 실행해주면 Pods 와 함께 그 속에 Alamofire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어요.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네요
- 혹시 pod install(update) 직후 .xcworkspace 를 열자마자 project 에 에러가 발생한다면 당황하지말고 한번 build(혹은 run)을 시켜주면 error가 사라진답니다 🧘🏼♂️
4. 실제 코드에서 사용하기

- 실제 사용하고자 하는 Swift 파일에서 import 모듈명 을 추가 후, 원하는 코드를 작성하면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어요.
pod 관리하기
설치는 podfile 에 설치하고자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르 추가하고
터미널에서 pod install 을 실행해주면 끝입니다.
설치한 pod 의 업데이트, 삭제(uninstall)은 어떻게하는지 알아볼까요 ~ ?
pod 의 업데이트
pod update
pod install 과 똑같이 project 경로에서 위의 커맨드라인을 실행해주면
project 에 설치된 pod들 중 업데이트할 버전이 존재하는 pod의 업데이트가 실행됩니다.
* 10개의 pod 이 설치되어 있고 1개의 특정한 pod을 지정해서 업데이트시킬 경우
pod update Alamofire(업데이트하고자하는pod이름)
* 10개의 pod 이 설치되어 있고 1개의 특정한 pod을 버전을 지정해서 업데이트시킬 경우
// podfile 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버전을 지정해준다.
// Almofire ~> 5.0.0
pod update Alamofire(업데이트하고자하는pod이름)
설치된 pod 삭제 (uninstall)
pod install
podfile 삭제하고자 하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삭제하고 위의 커맨드라인을 project 경로에서 실행시켜주면
설치된 pod 이 삭제됩니다.
pod install과 pod update
이 둘을 어느때 사용해야하는지 헷갈리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. 😣
저의 활용방법이에요 .
전제 : 3인 이상의 Git으로 관리되고 있는 팀 프로젝트
Case 1. 다른 팀원이 pod update를 했고 나의 local에도 반영시킬 때.
– 우선 해당 작업 내용을 git pull
– pod install
Case 2. pod 업데이트 작업을 본인이 실행할 때.
– pod update 업데이트할pod이름
– git push
Case 3. pod update 가 반영되지 않은 branch와 반영된 branch 에서 동시에 작업이 필요할 때.
– 각각의 branch 를 check-out 했을 때마다 pod install 실행
[…] iOS | Cocoapods 설치. 사용하기. 글을 참고해주세용 […]
좋아요좋아요